지속이 되는 불경기에 많은 사람들의 관심이 안정성이 있는 제과점의 창업에 시선을 많이 두고 있다. 많은 제과점이 있지만 그 중 유독 파리바게트와 뚜레쥬르 크라운 베이커리를 많이 찾고 또한, 가장 안정성이 있는 브렌드이기 때문에 가장 많이 찾게 된다.
그럼 우선적으로 파리바게트, 뚜제쥬르, 크라운베이커리에 대한 장단점을 비교를 하자면,우선 가장 특징적이라고 볼 수가 있는 것이 3가지 브랜드 모두 냉동생지를 이용하여 빵을 굽는다. 그런데 반제품과 완제품의 비율이 틀리다는 것을 볼 수가 있다.
파리바게트는 통상적으로 반제품 비율이 70%선을 웃돌고 있다. 하지만, 물론 매장마다 빵을 구입하는 사람들에 비례하여 차이는 있을 수 있다. 그에 반해 뚜레쥬르는 반제품 비율이 거의 90%선을 넘어선다. 크라운베이커리는 반제품의 비율이 50%선에 불과하다.
반제품의 비율이 높으면 매장내에서 굽는 빵의 비율이 높기 때문에 빵이 신선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당연히, 개장전에 해야하는 일이 많기 때문에 빵의 종류가 적어질 수 밖에 없는 것이다.) 하지만 그 이유로 인하여 매장에 빵의 종류가 줄어든다.
그리고 반제품의 비율이 높으면 매장에 인건비가 상승한다.(손으로 직접 빵을 만들어야 하기 때문이다.)
파리바게트는 기사1명 인건비가 약 150 만원 정도이며 뚜레쥬르는 180 만원 크라운베이커리는 80 만원 정도의 인건비가 들며 운영은 역시 완제품 비율이 높은 브랜드가 쉽다.
그와 반대로 마진은 반제품 비율이 높은 브랜드가 높다.
본사 책정한 마진은 파리바게트 40%, 뚜레쥬르 45%, 크라운베이커리가 38% 수준이다. 물론 여기에 제고 및 세금 등등을 계산하면 마진이 줄어든다.
통상적으로 현재에도 파리바게트의 인지도가 상당히 지속이 되고 있는 상황이며, 그래서인지 매출도 제일 높은 편이다. 뚜레쥬르는 대기업인 CJ를 브랜드를 등에 업고 한참 매장늘리기에 바쁘다. 현재 파리바게트가 가맹점수는 파리바게트 > 크라운베이커리 > 뚜레쥬르 순이다.크라운베이커리도 가맹점을 늘리려고 애를 쓰지만 아직은 그 기새는 여력한 수준이다.
향후 승자가 누가 될지는 아무도 모른다. 하지만 향후 승자가 누가 되든 창업자의 입장에서는 어떤 브랜드를 운영을 할때 창업자 본인과 제일 잘 맞는지를 잘 선택하여야 할것이다.
제과점 창업의 결코 쉬은 것은 아니다 . 하지만 현재 같이 불황기에 제과점 창업같이 안정적인 업종을 오픈하는 것도 좋은 창업방안이라 생각된다.